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무주택확인서 인터넷 발급 고고

인생역전코앞 2020. 1. 26. 17:13

연말정산 무주택확인서 인터넷 발급 고고

주택청약 통장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면 연말정산 무주택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아서 추가로 공제받아보도록해요. 연말정산은 제13의 월급이라고도 하는데요. 세금폭탄이 무서워서 왠만하면 연말정산 항목을 하나씩 체크해서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주택청약 연말정산을 자세하게 알아보도 혜택을 받도록 해요. 오늘은 연말정산 무주택확인서 인터넷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주택청약 연말정산을 받기 위해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주택청약 통장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택청약 통장의 종류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주택청약 연말정산을 받을 수 있는 통장은 주택종합저축통장과 청약저축통장만이 가능합니다. 

주택청약 통장에도 종류가 여러가지 있더라구요. 청약예금, 청약부금이 있는데요. 주택청약저축을 제외한 나머지 통장들은 2015년 9월부로 신규가입은 중단되어있는 상태입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통장을 한번 확인해보세요 

주택청약 연말정산을 받기 위해서는 몇가지의 조건들이 필요합니다. 주택청약 세대주가 무주택세대여야하는데요. 주민등록상 기준으로 세대원 전부가 무주택자여야합니다. 세대주 분리가 되어 있는 경우라면 관계는 없습니다. 이를 확인해주기 위해서 연말정산 할 때 국세청에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하는겁니다. 그리고 연간소득이 7000만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이 되는데요.

무주택 확인서는 말 그대로 나 집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를 증명하는 것입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아서 좋기는하지만 무주택자라는게 약간은 씁쓸하기도 하네요. 

그렇다면 연말정산을 받기 위해서 무주택확인서가 필요한데 이건 어디에서 받아야할까요? 주택청약 개설을 했던 은행에 방문합니다. 또는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만 일부 은행만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이 있습니다. 하나은행의 경우에는 청약 통장 가입시에 대장자 등록이 되어 있는 분들에 한해서만 인터넷 발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루트는 은행마다 다르지만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 접속- 공인인증서 로그인 - 소득공제 대상 등록을 검색 -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 발급입니다. 발급은 인터넷으로 출력하는것이 아니고 제출을 누르면 자동으로 국세청에 연계되어 전송되는 시스템으로 확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은행 상담원을 통해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무주택확인서까지 등록하면 마무리가 됩니다. 연말정산을 위해서 발급받았는데 소득공제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야습니다. 연간 240만원 한도에서 40%까지 최고 96만원 한도내에서 공제가 됩니다. 중요한 사항이 있는데요. 연말정산을 받고선 주택청약통장을 5년동안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5년 이내 해지할 경우에는 연말정산으로 소득공제 받았던 부분을 다시 뱉어내야한다고해요. 

그리고 이미 주택청약공제의 혜택을 받고 계신 분들은 이미 무주택자로 등록이 되어 있으니 따로 발급은 안받으셔도 된다고 합니다. 국세청에 자동으로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을법한 무주택자 연말정산 공제에 대한 설명이였습니다. 꼭 확인하시고 연말정산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